BIO USA 2025

BIO USA 2025: Harnessing the Next Biotech Breakthroughs

 

서론: 다시 돌아온 BIO USA, 글로벌 바이오의 심장

본 블로그 레터에서는 2025 6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 전시회, BIO International Convention 2025(BIO USA 2025)를 소개하겠습니다. 본 행사는 매년 17,000명 이상의 바이오 관련 전문가, 기업, 기관이 참가하는 행사로서, 이 행사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산업 동향, 파트너링, 기술 교류, 정책 토론이 이뤄지는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의 중심 무대입니다.

이번 BIO USA는 특히 "다음 세대 바이오 혁신을 위한 연결(Harnessing the Next Biotech Breakthroughs)"이라는 주제로, AI-기반 신약개발, mRNA 및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지속가능한 바이오 제조, 글로벌 규제 변화 등 다양한 이슈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습니다.

 

전시장 구성과 주요 참가자

BIO USA 2025는 총 4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1.    Innovation Zone: 스타트업과 초기 기술 기업이 중심. CRISPR, AI/ML, LNP 플랫폼 기술, 합성생물학 등 차세대 기술이 전면에 등장

2.    Established Leaders Pavilion: 대형 제약사 및 바이오텍 – Pfizer, BMS, Sanofi, Bayer, Takeda 등이 부스를 운영하며 파이프라인 소개 및 글로벌 협력 기회 논의

3.    Academic & Incubator Pavilion: MIT, Harvard, Stanford 등 유수 대학 및 연구기관이 기술 이전 및 공동개발 파트너 모색

4.    Country Pavilions: 한국, 일본, 프랑스, 이스라엘, 스위스 등 국가관이 형성되어, 지역별 전략 및 유망 기술을 홍보

 

특히 한국관(Korea Pavilion)에는 산업부, KOTRA, 보건산업진흥원 등이 후원한 40여개의 기업이 참가하여, K-바이오의 저력을 뽐냈습니다. 세포치료제, 항암제, 진단키트, 원료의약품, 배지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가 인상적이었습니다.

 

Partnering 시스템: BIO One-on-One™의 위력

BIO USA의 핵심은 바로 Partnering 시스템입니다. BIO USA에서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BIO One-on-One™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수천 개 기업과의 사전 미팅이 가능하며, 실제 현장에서 수백 건의 투자 및 라이센싱 딜이 이뤄졌습니다.

BIO Partnering이 좋은 이유는 단순히 기술 소개에 그치지 않고, “거래 의지가 있는 인물과 직접 만난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이 BD 담당, 기술 이사, 전략 책임자 등 실질적 협력권한을 가진 인물들입니다.

 

인상 깊었던 세션 요약

BIO USA는 단순한 전시회가 아닌, 업계 리더들의 집단 토론의 장이기도 합니다. 세션 중 인상 깊었던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1.    AI-Powered Drug Discovery: AI 모델을 활용한 신약 후보 예측과 in silico screening의 정확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있다는 사례 공유

2.    The Future of mRNA Beyond COVID-19: mRNA 기술이 이제 백신을 넘어 자가면역, 희귀질환, 심혈관 질환까지 확장 중이며, 다수의 pre-clinical pipeline이 주목받음

3.    Cell & Gene Therapy CMC Challenges: CMC 및 제조 자동화의 병목 현상에 대한 산업계 공통의 고민과 대응 전략 공유

4.    Sustainable Biomanufacturing: 에너지 절감, 폐기물 재활용 등 환경 지속가능성을 위한 바이오 공정 개선 방안 소개

 

글로벌 트렌드 정리

이번 BIO USA를 통해 확인한 2025년 바이오산업의 핵심 트렌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1.png

 

이 중에서 mRNA 기술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BIO USA 2025에서 가장 많은 청중이 몰렸던 세션 중 하나는 바로 “The Future of mRNA: Beyond the Pandemic”이었습니다.

이 세션은 Moderna, BioNTech, CureVac, Sanofi mRNA 분야 선두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mRNA 기술의 진화, 플랫폼화, 그리고 규제 대응 전략을 공유한 자리였습니다.

주요 핵심 발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png

 

그리고, 이 발표내용에 부합되는 핵심 기술 트렌드 4가지를 설명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중 항원 발현 전략: 하나의 mRNA 분자로 여러 항원을 동시에 발현하여 면역 반응을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특히 고형암 백신에서 T세포 반응 유도를 위한 중요한 기술로 떠오르고 있음

2.    LNP (Lipid Nanoparticle) 최적화: LNP의 간·비장 편향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PEG-lipid, ionizable lipid 조성의 미세 조절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투과성, 안정성, 세포 침투 효율을 모두 고려한 설계 전략이 핵심임을 강조

3.    Self-amplifying mRNA (saRNA): 적은 양으로도 강한 단백질 발현 유도가 가능한 방식이며, 감염병 백신 뿐 아니라 대사성 질환에도 응용 확대 중

4.    Regulatory Framework 정립: FDA mRNA 제품의 IND 심사 과정에 AI 기반 모델링을 허용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으며, EMA 역시 LNP 구성요소의 기준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임

 

이 세션을 통해 우리는 단순히mRNA는 백신이다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확신을 얻었습니다.

이제 mRNA단백질 생산 플랫폼그 자체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그 응용 범위는 생물학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 회사가 개발 중인 세포 배양 배지나 전달체 기술 역시 mRNA 기반 치료제의 제조·공급망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의 활약

BIO USA 2025에서 한국 기업들의 존재감은 과거보다 훨씬 컸습니다. 기술력이 우수한 스타트업들이 다수 참가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습니다.

1.    CDMO 기업: 품질관리 및 배양공정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높은 관심

2.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 고형암 타깃 CAR-T, 비바이럴 유전자전달 플랫폼 소개

3.    배지 및 시약 기업: AOF CD Media, 바이오리액터 최적화, 유럽 시장 진출 전략 공유

4.    진단 기업: 다중 진단 기반 AI 플랫폼, POCT(현장진단) 솔루션 집중 홍보

 

특히 바이오시밀러 위주였던 과거 참가 흐름에서 벗어나, 플랫폼 기술 중심의 전략적 포지셔닝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 BIO USA는 단순한전시회가 아니다

BIO USA 2025는 단순한 기술 홍보의 자리를 넘어, 전 세계 바이오산업의 민낯이 드러나는 무대입니다. 기술, 자본, 규제, 정책이 하나의 흐름으로 엮이는 이 자리에서 우리가 무엇을 준비하고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명확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Blog Letter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9 세포 노화시계 늦추는 텔로미어 :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 '알트(ALT)' 웰진 2025-04-14 1068
18 엑소좀 최신 연구 동향 및 임상적용 웰진 2025-04-14 1181
17 중간엽 줄기세포 기반 세포치료제의 미래 웰진 2025-04-14 929
16 배양육의 미래: 배양육의 개념과 개발목적 웰진 2025-04-14 1631
15 PCR 기법을 사용한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부정시험 웰진 2025-04-14 638
14 생명과학과 인공지능의 결합: 무궁무진한 발전 웰진 2025-04-14 854
13 세포배양 오염의 원인과 대책 웰진 2025-04-14 808
12 글로벌 mRNA 백신·치료제 시장 규모 전망 웰진 2025-04-14 709
11 글로벌 세포배양 배지 시장의 동향과 전망 웰진 2025-04-14 794
10 노화의 개념과 연구 동향 웰진 2025-04-14 738
9 줄기세포의 최신 연구 동향 웰진 2025-04-14 759
8 WELGENE의 R&D 웰진 2025-04-14 585
7 제조용수 관리 및 WELGENE의 제조용수 웰진 2025-04-04 811
6 세포 배양 시 사용되는 항생제 웰진 2025-04-04 616
5 Balanced Salt Solution의 종류와 역할 웰진 2025-04-04 847